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역학 Epidermiology

환자-대조군 연구

by assist-kim 2021. 10. 6.

 연구방법들을 공부하다보면 단면연구에서 여러가지 연구방법들이 나오면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경우에 한번씩은 꼭 개념정리를 하고 가는게 도움이 되더라구요. 이번에는 단면연구에서 환자-대조군 연구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환자 대조군 연구

1. 정의 : 질병의 발생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가설을 세운 잠재적 위험요인에 대해 질병을 가진 환자군과 질병을 가지지 않은 대조군 간 노출 비율을 비교하는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설계

 

2. 설계 : 이미 질병이 발생된 상태에서 환자군과 대조군을 선정한 후, 이들이 과거에 경험했던 위험요인에의 노출 여부를 조사하는 형태로 설계

 

3. 수행

1) 대상자의 선별

- 환자군은 사례 정의에 따라 대상의 포함기준, 제외기준 하에 선별되며 정의에 입각하여 명백히 환자여야 함

- 새로이 발생한 환자를 선정하는 방법과 이미 발생하여 처치 중인 환자를 선정하는 방법이 있음, 후자의 경우 사망 혹은 회복된 환자들을 놓치게 되기 때문에 반드시 새로이 발생한 환자여야 함

- 환자군은 잠정적 환자군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함

추후 연구결과를 연구집단으로 일반화 할 때 중요

 

- 대조군은 대조군 정의(control definition)에 따라 포함기준과 제외기준 하에서 선별되어야 하며 최소한 연구시점에는 관심의 대상이 되는 질병을 가지고 있지 않아야 함

- 요인 노출정보는 환자군과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되어야 함

- 대조군은 질병을 가지지 않은 대상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함

 

2) 환자-대조군연구의 종류

병원 대조군 : 환자군과 동일한 병원의 다른 질병 환자를 기반으로 함

지역사회 대조군 : 환자군이 속한 지역사회 주민을 대조군으로 함

인구집단 기반 환자-대조군 : 인구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새로이 발생된 전체 환자를 환자군으로 하고, 그 인구집단 내에서 적절한 대조군을 뽑아 연구하는 방법

비용과 노력, 시간이 많이 들지만 일반화가 용이

 

- 병원 대조군을 지역사회 대조군보다 흔히 이용

대상을 선정할 수 있고, 해당 병원으로 찾아오는 양상이나 특성이 환자군과 유사하며, 위험요인 정보의 수집 과정이 환자군과 비슷하여 비교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

 

3) 짝짓기(matching)

: 어떤 교란변수가 존재할 때 환자군에서의 교란변수의 분포가 대조군에도 동일하게 분포하도록 미리 계획적으로 대조군을 뽑는 방법

- 목적 : 교란변수의 영향을 자료수집단계 혹은 분석단계에서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함

- 개별 짝짓기(indivisual matching) : 환자군 개개인마다 짝짓기 변수의 특성이 완전히 동일하도록 대조군을 하나 혹은 둘 이상씩을 골라 서로 짝짓는 것

- 빈도 짝짓기(frequenct matching) : 환자군과 대조군 전체에서 교란변수의 분포가 동일하도록 하는 것

 

4. 환자-대조군연구의 분석

- 환자 대조군연구에서는 요인과 질병과의 연관성 지표로서 교차비(odds ratio)를 산출

  질병 여부
질병(+) 질병(-)
위험요인 있음 A B
없음 C D

질병여부에 따른 교차비 = (A/C) / (B/D) = AD / BC

노출여부에 따른 교차비 = (A/B) / (C/D) = AD / BC

즉 교차비는 모두 AD / BC로 계산 됨

 

5. 환자-대조군연구의 장단점

1) 장점

- 대상자 수의 규모가 적음

- 비용과 시간적 측면에서 효율적

- 이미 발생된 환자이므로 윤리적 문제도 적음

- 일개 질환에 대한 여러 가지 위험요인을 밝힐 수 있음

- 희귀 질환 연구나 긴 잠복기를 가진 질병에도 적합

 

2) 단점

- 요인-질병 간의 시간적 선후관계는 명확치 않음

- 드문 노출의 경우 많은 대상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환자-대조군 설계가 적합지 않음

- 비교위험도를 직접 측정할 수 없음

- 환자군과 대조군의 잘못된 분류로 선택 바이어스, 오분류 바이어스가 일어날 수 있음

- 정보 수집 단계에서 기억 소실 바이어스, 회상 바이어스의 위험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