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역학 Epidermiology

질병전파의 원동력

by assist-kim 2021. 4. 24.

 오늘은 감염병에서 질병의 전파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판데믹이나 집단면역 등 이번 코로나 사태로 접하게 되던 용어들이 나오니 관심있게 보시면 좋을거 같아요.

 

 

질병전파의 원동력 The dynamics of disease transmission

 

전파 양식 Modes of transmission

직접 전파 : 사람 간 접촉

간접 전파 : 오염된 물·공기와 같은 공동매개물(vehicle)[단일·다중·연속 노출]

모기와 같은 매개생물(vector)

1) 균들이 반드시 피부를 통해서만 인체 내로 투입되는 것은 아님

2) 감염은 한 가지 이상의 투입경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

 

임상적(현성) 질환과 무증상(불현성) 질환 Clinical and subclinical disease

 

임상적(현성) 질병 Clinical disease

임상적 질병은 증후(sign)과 증상으로 특징 지어짐

 

비임상적(불현성) 질병 Nonclinical disease

1) 임상전 질병(preclinical disease) 현재 임상양상 없으나 결국 임상적 질병 단계로 발전하게 되는 질병

2) 무증상 질병(subclinical disease) 현재 임상양상 없고 향후에도 임상적 질병 단계로 발전하지 않을 수 있음

3) 지속적(만성) 질병[persistent (chronic) disease] 수년 또는 평생 감염이 지속되는 경우

4) 잠재 질병(latent disease) 숙주에 유전정보만 존재하며, 생존상태의 병원체가 존재하는 것은 아님

 

보균자 상태 Carrier status

보균자란 병원체는 숙주 내부에 존재하지만, 혈청학적 검사로 감염여부가 확인되지 않거나 혹은 임상적 질병의 증거를 찾을 수 없는 개인

다른 경우보다 감염력이 낮지만 감염 시킬 수 있음

 

풍토성, 유행성, 범유행성 Endemic, epidemic, pandemic

- 풍토성은 일정한 지역에 어떠한 질병이 습관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

- 유행성은 유사한 특성을 지닌 질병군이 어떤 일정 지역에서 정상 기대치보다 초과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 공통 감염원이나 전파된 감염원으로부터 기인

- 범유행성은 유행이 범세계적으로 발생한 경우를 의미

정상 기대치보다 발생이 훨씬 많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정확한 답은 없으나 지속적인 질병감시체계를 통해서 우리는 질병의 평상시 수준 또는 기대치를 결정할 수 있음

해결되지 않은 주요 문제 - 이러한 유형의 연구결과에서 얻어지는 사회의 잠재적 편익이 연구실에서의 생물 안전성의 미비(바이러스의 우연한 방출) 또는 생물 테러로 인한 돌연변이 바이러스의 통제되지 않은 확산 위험성에 비교하여 더 큰가

 

질병 집단발생 disease outbreaks

단일노출 공동매개물로 인한 집단발생 특징

1) 폭발적 : 대상인구에서 해당 질병이 갑자기 급속하게 증가

2) 질병에 걸린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집단발생을 일으킨 인자에 노출된 사람들

3) 식품매개 집단발생(노로바이러스가 대표적)의 경우에는 직접 음식을 먹지 않고, 음식을 먹었던 초기 발생 환자들을 통해서는 거의 감염되지 않음

 

 

 

 

면역과 감수성 Immunity and Susceptibility

인구집단에서 질병의 규모

 

집단면역 Herd Immunity

: 대상집단 구성원의 큰 분율(proportion)이 면역을 가진 상태여서 질병에 의해 공격을 받았을 경우 집단이 질병유행발생에 대하여 저항성을 지니는 것

인구집단의 많은 사람들이 면역상태라면, 면역된 사람들만 질병발생으로 보호받는 것이 아니고 집단 전체가 보호될 가능성이 높음

어느 대상에 대하여 면역 프로그램을 시행할 때, 반드시 100% 면역률을 달성하는 것이 굳이 필요하지 않음, 미처 예방접종을 받지 못하여 면역되지 않은 사람들은 집단면역에 의해 보호를 받게 됨

집단면역이 되기 위한 조건

- 질병이 전파되는 과정에서 숙주는 하나의 종(species)으로 제한되어야 함

- 직접전파에 의한 기전으로 질병전파가 이루어져야 함

- 감염 후 면역형성은 완전해야 함

- 인구집단 내에서 감염자가 다른 모든 대상자를 접하게 되는 확률이 동일한 때(random mixing) 집단면역 작용 (이 조건은 이론적인 개념)

 

잠복기 Incubation Period

: 병원체 감염 후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기간

(아마도 병원체가 체내에서 증식하여 임상증상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만큼의 양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반영할 것)

흑사병(Black Death)에서 유일하게 의학적인 발전으로 기록되는 것 건강격리 Quarantine; 검역

- 이탈리아 항구도시에서 40일간 배들을 격리시킨 데서 유래

얼마나 오랫동안 대상자의 격리 시켜야 하는가? 잠복기를 알고 있다면 이 기간동안 격리.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언제 감염된지 모르며, 증상이 명백하게 나타날 때까지 병에 걸렸는지 알지 못함

비감염성 질병에 대한 잠복기는 흔이 잠재기(latent period)라고 함

집단발생 혹은 유행 조사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

언제 노출이 일어났는가?
언제 질병이 시작되었는가?
질병의 잠복기는 얼마인가?

세 가지 중 두 가지를 안다면 나머지 한 가지는 계산해 낼 수 있다.

 

발병률 Attack Rate

발병률

발병률에서는 시간 개념인 기간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지 않음(노출이 흔하고 질병이 급성으로 진행되기 때문)

 

일차환자(primary case) :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질병에 걸린 사람

이차환자(secondary case) : 일차환자에 노출되어 질병에 걸린 사람

이차발병률(secondary attack rate) : 일차환자에 노출되어 질병에 걸린 사람들의 발병률

[초발환자(index case)의 가족들을 대상으로 흔히 계산됨]

해당 질병이 사람 간 직접 전파되는 질병인 경우에 그 정도를 표현하기에 좋은 척도

 

질병발생에 대한 탐색

누가(who)

: 인간 숙중의 특성이 질병위험률과 연관 있는 것은 확실함 (성별, 연령, 인종 및 행동요인)

임질(Gonorrhea)

>

백일해(Pertussis)

발생률은 6개월 미만의 영아기에서 가장 높지만 보고되는 환자 수는 7~10세의 어린이들 중에서 가장 많음

언제(when)

: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발생하는 질병이 있음 (무균수막염, 설사 질환, 호흡기 질환) 장기적 추세에도 적용

어디서(where)

: 질병은 시간 혹은 장소의 측면에서 무작위로 분포하지 않음

 

집단발생 조사 Outbreak Investigation

교차표(Cross-Tabulation)

: 식중독 발생의 경우와 같이 몇몇 가능한 원인인자에 직면할 때 사용

 

레퍼런스. David D.Celentano , [고디스 역학 6th edition], ELSEVIER,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