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외과 Surgery19

간문부 담관암의 치료 간문부 담관암 : 좌우 간관의 합류부를 중심으로 원위부로는 총간관, 근위부로는 좌우 간관에 발생한 담관암 Klatskin이 1965년 발표한 논문을 첫 보고로 보며, 간문부 담관암이 독특한 임상적, 병리학적 특징이 있는 질환으로 기술하여 이 종양은 Klatskin tumor라고도 불리운다. 발생 빈도 담관암은 세계적으로 소화기 암의 3% 정도를 차지, 남자에게 높고, 60대에 호발. 한국에서 담관암과 담낭암은 각각 담관계 암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병인 담관암 환자 중에서 뚜렷한 병인이 있는 경우는 흔하지 않지만 담관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질환으로는 원발경화담관염, 담관낭, 궤양성 대장염, 간내결석증, 간공장 문합술, 감흡충증 등이 있음 대부분은 담즙 정체와 담관염과 연관되어 있음 .. 2021. 10. 26.
Celiac trunk 혈행 분지, Pringle maneuver Celiac trunk -Common hepatic A ∠Gastroduodenal A ∠Supraduodenal A ∠Right gastric A -Hepatic artery proper -Rt.hepatic A ∠ Cystic A -Lt.hepatic A -Left gastric A -Splenic A 간 절제 시 혈행 차단술 Liver resection 주 출혈원 유입혈관계 Inflow system 간동맥·문맥 유출혈관계 out-flow system 간정맥 역류 Pringle maneuver -유입혈관계 Inflow system의 혈행을 제어 -15분 이내의 혈행차단 → 5분간 재관류 -간·십이지장 간막(Hepatoduodenal ligament)의 일괄적 차단 -Hepatic artery -Por.. 2021. 10. 18.
췌십이지장 절제술(Pancreatico-duodenectomy, PD) -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발전시킨 외과의는 Whipple - 수술 후 생활의 질을 높이고자 주로 만성 췌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유문보존췌십이지장절제술(PPPD)이 개발되어 오늘날에는 팽대부주위암에 대해 보편적인 수술이 됨 1. 절제술 - 적응증 : 췌두부암, Vater팽대부암, 원위부총담관암, 십이지장암 등 십이지장 팽대부주위암 1) 개복, 절제가능성의 확인 - 모든 복강내 악성 종양 수술의 첫 단계와 같이 간표면, 골반강을 검사하고 복막파종 유무와 간문부, 간십이지장 인대와 총간동맥 주위 및 대동맥 주위 림프절 종대를 보아야 함 - 복수가 있으면 그 자체 또는 세정액을 모아 세포검사(Cytology)를 시행할 수 있음 - 횡행결장 간막, 특히 중결장 혈관 주위 간막에 암이 췌장피막을 뚫고 나온 경우는 함몰.. 2021. 10. 18.
소화기 기질 종양 GIST(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1) 역학 - 위장관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기질성 종양이며 60~70%는 위에 위치 - 위 체부에 대부분이 발생하지만 위저부나 유문부에도 발생하며 대부분 단독으로 존재 - 위벽의 기질성분으로부터 발생하며 위의 모든 악성종양의 3%에 해당 2) 병리 - 처음엔 평활근육세포에서 생긴다고 생각하였지만 조직학적으로 GIST는 고유근층 특히 Cajal간질세포(장관의 운동성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관련 위장관 조정자 세포)에서 기원하는데 이들은 KIT및 CD34단백에 양성인 특성을 보이는 반면 평활근종에서 자주 양성반응을 보이는 actin은 desmin은 GIST의 경우 거의 발현하지 않음 - 세침흡인을 한 검체에서 감지될 수 있으며 GIST와 평활근 종양을 조직학적으로 감별 진단하는데 유용 3) 병기 - 예후는 종양의.. 2021. 10. 18.